- [데이터베이스 개론과 실습] Ch1. 데이터베이스 시스템
- [데이터베이스 개론과 실습] Ch2. 관계 데이터 모델
- [데이터베이스 개론과 실습] Ch3-1. SQL 기초
- [데이터베이스 개론과 실습] Ch3-2. SQL 기초
- [데이터베이스 개론과 실습] Ch4-1. SQL 고급
- [데이터베이스 개론과 실습] Ch4-2. SQL 고급
- [데이터베이스 개론과 실습] Ch5.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
- [데이터베이스 개론과 실습] Ch6-1. 데이터 모델링
- [데이터베이스 개론과 실습] Ch6-2. 데이터 모델링
- [데이터베이스 개론과 실습] Ch7. 정규화
- [데이터베이스 개론과 실습] Ch8. 트랜잭션, 동시성 제어, 회복
- [데이터베이스 개론과 실습] Ch9. 데이터베이스 보안과 관리
[데이터베이스 개론과 실습] Ch6-2. 데이터 모델링
ER 모델을 관계 데이터 모델로 매핑
완성된 ER 모델은 실제 DB 로 구축하기 위해 논리적 모델링 단계를 거치는데 이 단계에서 매핑이 이루어집니다.
매핑은 각각 개체 타입의 유형과 관계 타입 유형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진행됩니다. 아래와 같이 7단계로 구분됩니다.
개체 타입의 매핑
1단계 - 강한(정규) 개체 타입
정규 개체 타입 E 의 경우 대응하는 릴레이션 R 을 생성합니다. 각 개체 타입의 일반 속성은 각각 새로 생성하는 릴레이션의 속성으로 표시하고, 기본키와 외래키는 PK 나 FK 등으로 표시합니다.
2단계 - 약한 개체 타입
약간 개체 타입에서 생성된 릴레이션은 강한 개체 타입의 키를 외래키로 매핑하여 기본키를 구성합니다.
관계 타입의 매핑
관계 타입은 각 관계 타입이 맺고 있는 차수와 대응 수에 따라 매핑 방식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.
방식은 총 4가지입니다.
3단계 - 이진 1:1 관계 타입
해당 타입은 방법 1 ~ 방법 4 까지 모든 유형으로 매핑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방법 4 는 불필요한 개체를 생성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습니다. 방법 1 이나 방법 2 중 FK 에 NULL 값이 덜 발생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됩니다.
4단계 - 이진 1:N 관계 타입
N 의 위치에 따라 방법 1 또는 바업 2 유형으로 매핑됩니다.
5단계 - 이진 M:N 관계 타입
해당 타입은 방법 4 유형으로 매핑됩니다. 새로운 릴레이션을 교차 테이블이라고 합니다.
6단계 - N진 관계 타입
ER 모델의 차수가 3 이상인 다진 관계 타입의 경우 방법 4 로 매핑합니다. 그리고 생성되는 릴레이션의 키는 각 개체 타입의 기본키를 모은 복합키로 사용합니다.
다중값 속성의 매핑
다중값 속성은 취미가 (등산, 스키, 노래) 인 것과 같이 하나의 속성에 여러 값을 가질 수 있는 속성을 말합니다. 다중값 속성을 가진 ER 모델을 관계 데이터 모델로 매핑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.
7단계 - 다중값 속성
속성의 개수를 알 수 없는 경우 방법 1 을, 속성의 개수가 제한적으로 생기는 경우 방법 2 를 사용합니다.
이후 실습은 따로 작성하지 않겠습니다.
댓글남기기